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시재생사업9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현황 및 용도와 인천 도시재생 사업 분석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현황 및 용도와 인천 도시재생 사업 분석 1)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현황인천광역시 관내 사업지의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의 현황을 살펴보면 건립 중인 곳은 총 56개소이며 그 중 준공이 완료된 곳은 27개소이다.  준공이 완료된 시설을 자치군·구별로 살펴보면 강화군은 2개 사업지에 5개소의 공동이용시설이 준공되었으며 특산물 판매장, 공동작업장, 관광안내소, 마을카페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옹진군은 2개 사업지에서 5개소의 공동이용시설이 만들어졌으며 마을도서관, 청소년문화공간, 자원봉사센터, 주민활동공간, 경로당 등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도서 지역의 특징에 따라서 주민들의 편의 시설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구는 1개 사업지에 공감마실터라는 1개소의 공.. 2025. 3. 31.
인천광역시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설립현황 인천광역시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설립 현황   (1)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의 배경 2018년 시작된 국토교통부의 ‘마을관리협동조합’ 육성 사업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도입되었으며, 주민들이 직접 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공동체 기반의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시범사업으로 인천 만부마을, 안양 명학마을, 충주 지현동, 공주 옥룡동 등 4곳이 선정되었다. 이를 계기로 인천의 만부마을이 2019년 4월 전국 1호 마을관리협동조합으로 설립되었으며, 이는 향후 전국의 마을관리협동조합 설립에 있어 중요한 선례가 되었다. ‘만부마을관리협동조합’은 마을밥상, 문화상점, 마을관리소 등의 사업 아이템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되었으며, 전국적으로 모범적.. 2025. 3. 30.
도시재생 사업이란? 도시재생 사업이란?   1. 사업의 정의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적으로 다시 활성화시키는 종합적인 정책 및 사업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존의 재개발, 재건축과 달리 기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 공동체와 경제를 회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도시재생 사업은 물리적 개선뿐 아니라 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지속 가능한 도시의 유지를 목표로 합니다.기존의 재개발과 재건축은 낙후된 지역을 철거하고 새로운 건축물을 세우는 방식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원주민이 해당 지역에서 밀려나거나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도시재생은 기존의 자원을 보존하면서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살리고, 주민들.. 2025. 3.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