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현황 및 용도와 인천 도시재생 사업 분석

by mystory2508 2025. 3. 31.
반응형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현황 및 용도와 

인천 도시재생 사업 분석

 

1)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현황

인천광역시 관내 사업지의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의 현황을 살펴보면 건립 중인 곳은 총 56개소이며 그 중 준공이 완료된 곳은 27개소이다.

 

준공이 완료된 시설을 자치군·구별로 살펴보면 강화군은 2개 사업지에 5개소의 공동이용시설이 준공되었으며 특산물 판매장, 공동작업장, 관광안내소, 마을카페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옹진군은 2개 사업지에서 5개소의 공동이용시설이 만들어졌으며 마을도서관, 청소년문화공간, 자원봉사센터, 주민활동공간, 경로당 등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도서 지역의 특징에 따라서 주민들의 편의 시설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구는 1개 사업지에 공감마실터라는 1개소의 공동이용시설이 건립되었으며 스터디카페, 청소년 춤 연습실, 공용주방 등 복합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사업지 인근에 학교가 많아 청소년과 주민 편의 시설로 활용을 하고 있다.

 

동구는 3개의 사업지에서 4개소의 시설이 준공되었다. 마을카페, 공용주차장, 워크스테이션, 복합문화시설 등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복합문화시설 아뜨렛길은 주변에 체육시설과 문화적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주민에게 무료로 운영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미추홀구는 2개 사업지에서 2개소의 시설이 준공되었으며 경로당과 학부모 대기실로 이용하고 있다.

남동구는 2개의 사업지에 5개의 시설이 준공되었다. 마을상점, 아이사랑꿈터, 마을밥상, 카페, 도서관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3개의 시설의 경우 민간위탁을 통해서 운영하고 있는 중이다.

 

계양구는 1개의 사업지에 2개의 시설이 준공되었으며 실버카페, 경로당, 카페, 헬스장 등의 복합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중이다.

 

서구는 1개의 사업지에 3개의 시설이 준공되었으며 청년창업공간, 복합문화시설, 공원 등으로 활용되고 있고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7 과 같다.

 

-7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건립 현황

순번 · 사업지 시설명칭 준공 규모() 주요용도
1 강화군
(5)
‘16/왕의길 마을안내소 ‘20.11. 지상 2 관광안내소 등
2 경로당(()신문2) ‘21.9. 지상 1 공동작업장 등
3 ()구세의원 ‘22.12. 지하 1 ~ 지상 1 특산물 및 기념품 판매장
4 ‘18/남산 갤러리카페 ‘21.12. 지상1 갤러리 및 카페
5 강화군 행복센터 ‘22.2. 지하 2 ~ 지상 6 현장센터, 카페 등
6 옹진군
(5)
‘18/심청이 마을문화공간 ‘21.2. 지상 4() 주민활동공간 등
7 청소년문화의집 ‘21.6. 지하 1 ~ 지상 2 청소년 문화공간 등
8 커뮤니티센터 ‘21.10. 지상 2 자원봉사센터 등
9 마을관리소 ‘22.1. 지상 2 마을도서관
10 ‘19/평화섬 중부리 경로당 ‘21.2. 지상 1 경로당
11 중구
(1)
‘18/공감 공감마실터 ‘21.9. 지하 1 ~ 지상 5() 스터디카페, 공용주방 등
12 동구
(4)
‘17/화수 마을카페 ‘21.4. 지하 1 ~ 지상 5 행복주택, 카페 등
13 ‘21/금창 금창동 워크스테이션 ‘23.4. 지상 2 현장센터(협동조합)
14 ‘22/패밀리송림골 꿈드림센터 ‘23.8. 지하1~지상6 마을카페, 육아보육시설,
체육시설
15 아뜨렛길 ‘23.12. 지하 1 마을카페,
체육시설
16 미추홀구
(2)
‘19/비룡 용현노인정
(열린둥지1)
‘22.3. 지상 2() 경로당
17 ‘19/수봉 학부모대기실 ‘22.10. 지상 2 학부모대기실
18 남동구
(5)
‘17/만부 현장센터 ‘19.2. 지상 3 현장지원센터 등
19 공동이용시설 1 ‘21.11. 지상 2 마을상점(공방)
20 공동이용시설 2 ‘21.12. 지상 2 아이사랑꿈터 등
21 청년센터 및 행복주택 ‘21.6. 지상 6 마을밥상 등
22 ‘21/남동 만수5동 행정복지센터 ‘22.8. 지하1 ~ 지상 5 카페, 도서관 등
23 계양구
(2)
‘18/효성 마을사랑방 ‘21.9. 지상 3 실버카페 등
24 어울림복지센터 ‘23.8. 지상 6 마을카페, 다목적실,
어린이도서관, 헬스장, 강의실 등
25 서구
(3)
‘17/상생 마을공방 1 ‘21.9. 지상 2 청년창업공간 등
26 마을공방 2 ‘22..10. 지상 2 공동이용시설
27 복합커뮤니티 센터 ‘21.12. 지하 2 ~ 지상 2 주차장, 공동이용시설,
데이케어센터

 

2) 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용도

시설을 살펴보면 용도에 따른 유형을 나눌 수 있는데 시설이 다목적으로 이용되는 복합시설, 단일한 목적으로 쓰이는 단독시설로 나눌 수 있다. 이 기준에 따라서 현재 준공된 곳을 살펴보면 복합시설 19, 단독시설 8곳으로 확인되며 현재 미운영 시설은 5곳이다.

 

공동시설의 용도를 살펴보면 복합시설과 단독시설 모두 주민커뮤니티 공간(마을카페, 마을밥상, 마을도서관, 체력단련실 등), 창업지원 공간(청년창업공간, 마을공방, 마을상점 등), 복지시설 (·유아 돌봄시설, 경로당 등)등 크게 3가지 용도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운영주체를 확인해보니 마을관리협동조합이 운영하는 곳은 강화군의 단독시설인 구세의원, 마을안내소, 경로당 등이다. 복합시설의 경우는 현장센터와 협동조합이 위탁을 받기는 했지만 무상사용허가를 받아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이며 운영에 필요한 운영비, 인건비, 관리비 등의 지원을 받지는 못한다. 이는 실질적인 위탁운영이 아니라 협동조합원이나 주민의 자원봉사에 의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래-827개 공동이용시설 중 동구의 아뜨렛길 지하광장만이 유일하게 무상사용허가와 관리위탁 방식을 구청에 허가를 받아 운영비, 관리비 등을 지원받아 시설을 위탁 운영하고 있는 유일하다.

 

이런 상황으로 준공 완료 후에도 5곳이 미운영되고 있으며 공동이용시설을 관리하는 인원과 재원의 부족으로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곳도 2곳이나 존재한다.

 

-8인천광역시 도시재생 공동이용시설 운영 현황

순번 유형 · 시설명칭 주요용도 운영형식 운영주체
1 복합
시설
강화군
(1)
강화군 행복센터 현장센터, 마을카페,
푸드스토어 등
위탁 도시재생지원센터
협동조합
복지기관
2 옹진군
(4)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 문화공간 등 위탁 천주교재단
3 커뮤니티센터 자원봉사센터 등 직영 -
4 마을문화공간 주민활동공간 등 직영 -
5 마을관리소 공구대여 및 마을관리소 미운영 -
6 중구(1) 공감마실터 카페, 공용주방, 회의실, 독서실 직영 -
7 동구
(3)
화수정원마을카페 카페, 협동조합사무실, 공영주차장 위탁 화수정원
마을
협동조합
8 아뜨렛길 지하광장 마을카페(북카페), 체육시설, 유아박물관, 놀이시설, 주민쉼터 등 위탁, 무상사용허가 도시정비과
협동조합
9 꿈드림센터 마을카페, 돌봄시설, 체육시설 미운영 -
10 남동구
(5)

공동이용시설1 마을상점 마을공방 직영 -
11 공동이용시설2 사랑방, 아이사랑꿈터 직영 -
12 현장센터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직영 -
13 만수5동 행정복지센터 공동육아시설, 주민카페, 수유실, 작은도서관, 체력단련실 직영 -
14 청년센터 및 행복센터 마을밥상, 청년창업지원센터, 행복주택 직영 -
15 계양구
(2)
마을사랑방 실버카페, 경로당 등 직영 -
16 어울림복지센터 마을카페, 다목적실, 어린이도서관, 헬스장, 강의실 등 공단위탁 계양구 시설관리공단
협동조합
17 서구
(3)
마을공방1 청년창업공간 및 공방 직영 -
18 복합커뮤티니센터 청년창업공간 및 공방 미운영 -
19 마을공방2 주차장, 공동이용이설,
데이케어 센터
미운영 -
20 단독
시설
강화군
(4)
()구세의원 특산물 및 기념품 판매장 자율운영 협동조합
21 마을안내소 관광안내소 등 위탁 협동조합
22 경로당(()신문2) 공동작업장 등 자율운영 협동조합
23 갤러리카페 문화갤러리 미운영 -
24 옹진군
(1)
중부리경로당 경로당 직영 -
25 동구
(1)
금창동 위스테이션 창업지원센터 위탁 도시재생지원센터
26 미추
홀구
(2)
용현노인정 경로당 직영 -
27 학부모대기실 학부모대기실 위탁 도화초등학교

 

3)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사업 현황 분석 결과

인천 관내의 국토부 도시재생 사업 진행지 26곳 중 20239곳의 사업이 완료된 상황이며 2024년에는 10곳이 종료예정으로 사후관리방안 수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서 설립된 마을관리협동조합(협동조합 포함) 12개소 중 수익이 1천만원 이상인 곳은 3(강화남산마을, 화수정원마을, 패밀리송림골)뿐이며 그 외 9곳은 수익이 많이 나지 않고 있다. 공동이용시설 또한도 준공된 27개소 중 5곳은 미운영 중이며 2곳은 자율운영을 하는 등 운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위에서 확인한 것처럼 도시재생 사업 현황을 통하여 도시재생 사후관리의 필요성과 사후관리의 주요대상이 마을관리협동조합과 주민공동시설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 장에서는 사후관리조례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도출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