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시재생 개념탄생1 도시재생 사업의 배경 1. 도시재생 사업의 배경 및 도시재생 개념 탄생1) 사업의 배경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의 산업구조가 농업에서 공업으로 변화되면서 농촌에 집중되었던 인구가 일자리를 찾아서 도심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1970년대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14,420,000명으로 전체인구의 44.7%였지만 2022년 기준 농업인구는 2,166,000명으로 전체인구의 4.2%로 떨어졌으니 산업화로 인한 인구의 대이동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구의 대이동은 공장이 밀집되어 있는 서울과 수도권 등에 주택부족 및 상·하수도의 문제 등을 발생시켰으며 도시 인근의 무허가로 지어지는 판자촌과 달동네가 형성되어 주거 취약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도시재개발법(1977)’을 제정하여 주거 문제를 해결.. 2025. 3. 29. 이전 1 다음 반응형